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1

책리뷰-<전제의 법칙>전제, 말의 힘, 전제는 선택을, 선택은 운명을 바꾼다 1편: 전제를 바꾸면, 인생이 달라진다-틀에 갇힌 나를 다시 바라보다-사람들은 종종 결과를 바꾸기 위해 방법을 찾고, 전략을 세우고, 행동을 바꾸려 한다. 하지만 《전제의 법칙》은 그보다 먼저 ‘전제’를 바꾸라고 말한다. 전제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기본 전제, 관점, 믿음의 틀이다. 예를 들어, “나는 말주변이 없어.”라는 전제가 있다면 아무리 말하기를 연습해도 자신감은 생기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미 ‘나는 못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모든 말과 행동의 바탕에는 전제가 있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원래 그런 사람이니까”, “나는 안 될 거야” 같은 전제를 품고 살아간다. 그러니 결과도 매번 그 전제를 증명하듯 반복된다.인생이 잘 풀리지 않는 이유는 능력의 부족이 아니라, ‘틀린 전제’를 진실.. 2025. 8. 9.
책리뷰-<듀얼 브레인> 두 개의 자아, 자동브레인, 의식브레인 1 주제: 두 개의 자아, 한 사람의 삶우리는 하나의 자아로 살아간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선몰릭은 말한다. 우리 안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브레인이 공존하고 있으며, 각각의 브레인은 서로 다른 언어, 감정, 행동의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하나는 빠르고 직관적인 ‘자동 브레인’, 또 하나는 느리지만 분석적이고 자각적인 ‘의식 브레인’이다. 이 두 개의 브레인은 마치 각기 다른 성격의 룸메이트처럼 한 몸 안에서 공존한다.자동 브레인은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익숙한 패턴을 반복하며 우리를 보호하려 하지만, 때로는 현실과 맞지 않는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반면 의식 브레인은 더 느리지만, 우리의 삶을 재설계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삶에서 중요한 선택의 순간, 우리는 흔히 이 .. 2025. 8. 9.
책리뷰-《디바인 매트릭스》 연결-감정이 현실을 만들고 현실은 창조된다 1주제: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 보이지 않는 장(場)의 존재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나’는 늘 혼자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이 방 안에, 이 도시 안에, 혹은 이 우주 안에 나 혼자 떠 있는 듯한 고립감. 하지만 《디바인 매트릭스》는 이 외로움에 조용히, 그러나 강하게 반박한다."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니며, 모든 것과 연결되어 있습니다."저자 그렉 브레이든은 ‘디바인 매트릭스’라는 개념을 통해 이 세상이 단순한 물질적 구조가 아니라,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는 거대한 에너지장이라고 설명한다. 이 장은 ‘양자장(Quantum Field)’이기도 하며, 누군가는 그것을 ‘신’이라 부르고, 다른 누군가는 ‘우주의 의식’이라 말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 에너지장은 단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머물지 않는다. 그.. 2025. 8. 8.
책리뷰-<당신이라는 습관을 깨라>기억과 감정을 넘어 명상으로 새로운 삶 1편 : 당신은 당신이 아니다 – 우리는 ‘기억’대로 살아간다나는 나를 안다고 믿고 살아왔다. 내 성격, 내 반응, 내 말투, 내 생각 방식까지…오랜 시간 반복된 경험과 감정을 통해 만들어진 ‘나’를 의심 없이 받아들이며 그렇게 살아왔다.그런데 조 디스펜자는 그 익숙한 자아에 날카롭게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당신이 아니다. 당신은 당신의 기억이다.” 나는 이 문장을 몇 번이고 되뇌었다. 기억이라고? 내가 아니라? 인간은 하루에 약 6만 가지 생각을 한다고 한다.놀랍게도 그중 90%는 어제 했던 생각이다. 그 생각은 다시 같은 감정을 불러오고, 감정은 뇌와 몸에 저장된다.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감정이라는 ‘기억된 화학반응’을 따라 오늘을 살고 있는 것이다.“나는 원래 이런 사람이야.” “나는 감정 조절이.. 2025. 8. 8.
책 리뷰-<습관의 힘>습관이 만들어지는 과정, 습관바꾸기, 거대한 변화 습관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습관의 힘』은 "습관 루프(Habit Loop)"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한다. 습관은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신호(Cue) –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루틴(Routine) – 실제로 반복되는 행동보상(Reward) – 행동을 유지하게 만드는 결과예를 들어,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초콜릿을 먹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스트레스가 ‘신호’, 초콜릿 섭취가 ‘루틴’, 먹고 나면 기분이 좋아지는 게 ‘보상’이다. 이런 사이클이 반복되면 뇌는 이 행동을 자동화하여 습관으로 굳히게 된다.이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습관은 더 이상 불가항력적인 것이 아니다. ‘신호’와 ‘보상’을 유지한 채 ‘루틴’만 바꾸면, 새로운 습관으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습관을 바꾸면 인생이 바뀐다책에서 가.. 2025. 8. 7.
책 리뷰-<더 마인드>집중과 몰입, 부정적인 마음, 성장과 내적평화 집중과 몰입의 힘 – ‘지금, 여기에 온전히 존재하기’ 『더 마인드』에서 강조하는 핵심은 현재 순간에 완전히 집중하는 힘이다. 우리는 흔히 과거의 후회나 미래의 불안에 마음을 빼앗겨 지금 이 순간을 놓치곤 한다. 하지만 저자는 마음챙김과 몰입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집중은 단순히 주의를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정신과 감각을 모두 현재에 맞추는 상태를 의미한다. 책에서는 몰입을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소개한다. 예를 들어, 설거지를 하거나 빨래를 할 때 단순히 빨리 끝내려 하지 않고, 손 끝으로 느껴지는 물의 감촉과 소리, 세제 거품의 질감을 온전히 느끼는 것이다. 이 작은 순간에도 몰입을 실천하면,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삶의 선명도가 높아진다. 또한 걷기나 출퇴근 시간 .. 2025. 8.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