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

책 리뷰<말투 하나 바꿨을 뿐인데>말투가 바뀌면, 부정적인 말투, 긍정적인말투 말투가 바뀌면 관계가 달라진다살다 보면 똑같은 말을 해도 어떤 사람의 말은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고, 또 어떤 사람의 말은 불편하게 느껴진다. 중요한 건 내용 자체가 아니라 그 말을 어떻게 전하느냐이다. 즉 말투이다. 나 역시 예전에는 “나는 그냥 사실만 말했을 뿐인데 왜 상대가 기분 나빠하지?”라는 의문을 자주 가졌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니 문제는 사실이 아니라 말투였다. 예를 들어, 누군가에게 “이거 틀렸어.”라고 말하면 그 말은 지적처럼 들린다. 잘못을 꼬집는 것 같고 비난을 하는것 같아서 상대가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만든다.하지만 같은 상황에서 “여기 조금 다르게 하면 더 좋을 것 같아.”라고 하면 전혀 다르게 느껴진다.지적이 아니라 제안으로 들리고, 상대 역시 기분 나쁘지 않게 받아들인다... 2025. 8. 19.
책 리뷰-<모두가 늙었지만 아무도 죽지 않는다>노화의 본질, 죽음, 불사의 미래, 느낀점 노화의 본질과 그 의미우리는 모두 늙어간다. 그러나 노화가 단순히 시간이 흐르면서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인지, 아니면 인류가 반드시 겪어야 하는 불가피한 운명인지에 대한 질문은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다. 이 책은 노화의 본질을 과학적 관점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탐구한다. 노화는 단순한 세포의 퇴화가 아니라, 생명의 지속 가능성과 진화의 결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저자는 노화가 생명체가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해 선택한 전략 중 하나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즉, 노화는 단순한 결함이 아니라, 생명체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후손에게 유리한 유전자를 전달하기 위한 진화적 결정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노화를 단순한 질병이나 불행으로 보는 기존의 시각을 넘어서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이.. 2025. 8. 18.
책 리뷰-<결단>머뭇거림, 결단, 삶을 변화시키는 출발점, 실천하기 머뭇거림은 기회를 앗아간다사람은 누구나 선택의 순간 앞에서 망설인다. 그러나 『결단』은 말한다. 머뭇거리는 것 자체가 이미 하나의 선택이며, 그 결과는대개 기회를 놓치는 것으로 이어진다. 나는 이 문장을 읽는 순간, 오래 전 내 경험이 떠올랐다.몇 년 전, 새로운 직업 제안을 받았을 때가 있었다. 당시 나는 안정적인 직장을 다니고 있었고, 당장 바꾸는 것이 두려웠다.“지금 나가면 망하지 않을까?”, “혹시 잘못되면 책임을 어떻게 지지?”라는 생각에 머뭇거렸다. 결국 아무것도 하지 않았고, 제안은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다. 시간이 흐른 후 알게 된 사실은 그 제안이 훗날 큰 성과로 이어졌다는 것이었다. 나는 그때 깨달았다.망설임은 나를 지켜주는 안전망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가장 값비싼 대가를 치르게 만드는 습.. 2025. 8. 18.
책 리뷰-<부의 확신>풍요로움, 부자, 부를 현실로, 실천하기 풍요로움은 이미 우리 안에 있다밥 프록터는 책에서 이렇게 말한다. “당신은 태어날 때부터 부자다.” 처음 이 문장을 읽었을 때 나는 솔직히 고개를 갸웃했다. 통장 잔고를 들여다보면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읽다 보면 그의 말이 단순한 위로나 과장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 그는 부를 만들어내는 원천은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다고 강조한다. 우리는 흔히 돈이나 기회가 없다고 말한다. 환경이 안 좋다고 탓하기도 한다. 하지만 밥 프록터는 이렇게 묻는다. “정말 그것이 없는 걸까, 아니면 이미 가진 가능성을 보지 못하는 걸까?”그의 대답은 분명하다. 이미 우리 안에는 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생각과 상상력, 믿음의 씨앗이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그것을꺼내 쓰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 2025. 8. 18.
책 리뷰-<해빙 잇 올(Having It All)>원하는 삶, 긍정적 에너지, 행동과 실천 원하는 삶을 명확히 그려라존 아사라프는 원하는 것을 명확히 아는 것이 성공과 행복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한다. 우리는 흔히 ‘행복해지고 싶다’, ‘돈을 벌고싶다’처럼 막연한 목표만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이렇게 모호한 목표는 마음속에서 쉽게 희미해지고, 행동으로 이어지기 어렵다.아사라프는 구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하루 일과, 인간관계, 직업, 재정 상태, 건강 상태까지 가능한 한상세하게 상상하며 마음속에서 느껴보는 것이다.예를 들어, 아침에 일어나면 어떤 기분일지, 직장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을지, 가족과 친구와의 관계는 어떨지, 주말은 어떻게 보내고 싶은지까지 떠올린다. 그리고 그 순간 느끼는 기쁨과 만족을 마음속에서 실제처럼 체감하는 것이 핵심이다. 단순히 생각만 하는것이 아니라,.. 2025. 8. 17.
책 리뷰-<비상식적 성공법칙>성공은 상식이 아니다,고객중심에서 자신의 꿈 중심으로, 작은 비상식적 행동 성공은 ‘상식’이 아니라 ‘비상식’에서 시작된다사람들은 흔히 성공을 이야기할 때 “성실하게 노력하면 반드시 보상받는다”, “안정된 직업을 가지는 것이 최선이다”, “좋은 학벌과인맥이 있어야 성공한다”는 식의 상식을 말한다. 하지만 간다 마사노리는 단호하게 말한다. 성공은 상식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찾아오지 않는다. 오히려 비상식적인 길을 선택한 사람들에게만 열린다.상식은 사회가 만들어낸 규범이다. 다수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길, 위험하지 않다고 여기는 길이다. 부모님은 우리에게 늘 말했다.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 가라. 그러면 좋은 직장에 들어가고, 좋은 직장에서 오래 버티면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다.”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같은 길을 걷는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특별함’을 증명하기란 거의 불가능.. 2025.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