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이야기

하나의 세상, 곧 빛의 세상밖에 없다

by 토마의 사람이야기 2025. 11. 20.
반응형

우리는 마치 여러 개의 세상 속을 살아가는 것처럼 느낍니다.
잘해야 하는 세상, 평가받는 세상, 누군가보다 앞서야 하는 세상,
혹은 실패하면 끝이라는 세상.
그러나 실제로 존재하는 세상은 하나뿐입니다.
빛의 세상, 지금 이 순간 내가 움직이는 세계입니다.

내가 느끼는 움직임이 전부입니다.
그 외에 붙어 있는 의미들은 모두 뒤늦게 만들어낸 해석일 뿐입니다.
“잘해야 한다”, “못하면 안 된다”,
“이건 좋은 거야”, “저건 나쁜 거야” 같은 생각들은
실제로는 실체가 없는 그림자입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커피를 내리다 실수로 물을 쏟았을 때
“왜 이렇게 덤벙대지?”, “오늘 하루도 안 되겠는걸?”
이라는 생각이 즉시 붙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일어난 ‘사실’은 단 하나입니다.
물이 조금 쏟아졌다는 움직임뿐입니다.
그 위에 의미를 덧칠하는 순간,
우리는 스스로 그림자를 만들고 그 그림자 속으로 들어갑니다.

또 누군가가 나에게 무심한 표정으로 인사했을 때
“저 사람, 나를 싫어하나?”, “내가 뭘 잘못했지?”라는 해석이 붙습니다.
그러나 실제 세계에서는
그저 한 사람이 지나가며 표정을 지었을 뿐입니다.
그 표정이 나를 향한 것인지, 그 사람의 피곤함인지,
혹은 그냥 아무 의미 없는 순간인지조차 모릅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거기에 수십 개의 해석을 붙여
여러 개의 세상을 만들어내고 스스로 그 안에서 헤맵니다.

하지만 빛의 세계는 단 하나입니다.
그림자는 언제나 빛이 있을 때만 존재하고
그 그림자를 만드는 것은 사건이나 사람이 아니라
내가 부여한 의미입니다.

빛의 세계에서는 그림자가 없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움직임만 있을 뿐입니다.


아침에 물이 쏟아진 움직임,
한 사람이 지나가며 고개를 끄덕인 움직임,
버스가 내 앞에서 지나치는 움직임,
아이의 목소리가 들리는 움직임.
이 모든 것은 단지 지금여기에서 일어나는 생생한 흐름일 뿐입니다.

이 순간을 단순히 바라보면 알 수 있습니다.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고,
내가 만든 해석보다 훨씬 밝고 투명합니다.
지금 일어나는 움직임을 “그렇구나” 하고 바라보는 시각,
그것이 빛의 세계를 여는 열쇠입니다.

내가 움직이는 그 자리가 곧 세계입니다.
그 세계는 원래부터 온전하고
원래부터 빛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우리가 해야 할 것은
그저 의미부여의 그림자를 거두고
순수한 현재의 움직임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뿐입니다.

세상은 하나,
그리고 그 하나는 이미 빛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