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리뷰-<모신>어머니, 인간발달과 심리, 자율성과 양육 리뷰-<모신>어머니, 인간발달과 심리, 자율성과 양육
어머니로서의 존재 ― ‘모신’이라는 이름어머니라는 존재를 단순히 한 가정의 양육자로만 보지 않고, 인간 삶의 근원적 토대이자 정신적 뿌리로 바라보는 시각이 바로 ‘모신(母神)’의 개념이다. 저자는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 가장 먼저 접하는 세계가 바로 어머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아이는 어머니의 품에서 안전함을 배우고, 어머니의 시선 속에서 자신이 사랑받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이때 어머니는 단순히 한 개인이 아니라, 아이의 정신적 세계를 짜 맞추는 근원적 힘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저자는 어머니를 ‘모신’, 곧 신적인 의미를 지닌 존재로 표현한다.아이의 내면에는 어머니의 모습이 심리적 표상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 표상은 아이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 사람을 신뢰하는 방식, 스스로를 대하는 태도에까지 깊..
2025. 8. 24.
책 리뷰-<삶으로 다시 떠오르기>에고의 본질, 깨어있는 의식,새로운지구, 깨달음
에고의 본질과 인간 고통의 원인 인간이 겪는 대부분의 고통과 갈등은 에고에서 비롯된다고 톨레는 말한다. 에고는 단순한 자기중심적 성향이 아니라, 자신을 과거 경험이나 성취, 소유, 사회적 평가와 연결시켜 만들어진 허상의 정체성이다. 우리는 이 허상을 ‘나’라고 착각하며 살아간다. 문제는 이 ‘나’가 실제 존재하는 본질이 아니라 생각과 기억, 감정으로 만들어진 환상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면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라고 하든가, 나는 게으른 사람이라고 하는 등 스스로를 규정하고 있는 것들을 말한다. 이러한 에고는 끊임없이 자신을 유지하고 강화하려고 한다. 우리는 비교와 경쟁을 통해 우월감을 느끼거나, 다른 사람과 자신을 끊임없이 평가한다. 이런 과정에서 불만, 질투, 분노, 두려움 같은 감정이 생기며 내적 고통..
2025. 8. 23.